10월 28일 장 중 특징주
- 주식정보가득
- 2021. 10. 28.
1. 쎄미시스코
쎄미시스코 ( 136510 : 코스닥 ) + 29.92%
10월 28일 장 마감 기준
기계주 / 시총 700억대 / 유리기판 장비&초소형 전기차 사업
관계사 에디슨 모터스의 쌍용차 인수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무상증자 권리락 효과 발생됨
쎄미시스코는 반도체·디스플레이 공정장비 생산업체이며 10월 28일 무상증자로 인한 권리락이 발생한다고 전날 공시했으며 무상증자 권리락으로 인해 상한가로 장 마감했습니다. 권리락은 신주를 배정받을 권리가 사라진다는 의미입니다. 무상증자를 시행하면 신주배정기준일에 맞춰 권리락이 발생하는데 이때 주가가 싸다는 착시효과가 생기면서 단기적으로 주가가 급등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식 수 증가를 고려하지 않은 채 주가가 낮아지는 것만 보고 투자자의 자금이 몰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쎄미시스코는 지난 7월 무상증자를 결정했으며, 규모는 보통주 2167만 7385주다. 신주배정기준일은 오는 29일이며, 이날 주주명부에 등재된 주주에게 소유주식 1주당 3주의 신주를 배정합니다. 신주의 상장 예정일은 다음 달 30일입니다.
2. 아센디오
아센디오 ( 012170 : 코스피 ) + 29.89 %
10월 28일 장 마감 기준
미디어주 / 시총 1700억대 / 엔터&제작사업
구) 키위 미디어그룹, 아센디오&자이언트 스텝 콘텐츠 개발 MOU 체결 소식 부각됨
10월 26일 아센디오는 자이언트 스텝과 메타버스 콘텐츠 공동 기획 및 제작을 위한 전략적 업무 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아센디오가 제작하는 웹툰 원작 SF 재난 액션 영화 '하이브'를 포함해 향후 제작하는 영화, 드라마 등 콘텐츠 제작에 자이언트 스텝이 보유한 관련 기술을 결합해 다양한 메타버스 콘텐츠를 구현할 예정입니다. 앞서 두 회사는 지난 8월 시각 특수효과(FX) 기술 및 리얼타임 콘텐츠 설루션 공급 계약을 체결해 메타버스 콘텐츠 제작에 대한 협력 관계를 구축한 바 있습니다. 이번 업무 협약은 향후 제작하는 드라마, 영화 등 콘텐츠 전반에 대한 기획과 제작을 공동으로 추진하는 것은 물론 아센디오가 경기도 안성에 기획 중인 대형 영화 제작 스튜디오 건립과 남양주 지식산업센터 등에도 폭넓게 협업해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전망됩니다.
3. 광진윈텍
광진윈텍 ( 090150 : 코스닥 ) + 26.73%
10월 28일 장 마감 기준
자동차 부품주 / 시총 2200억대 / 부품사업
200억 원 규모 자금조달, 친환경 발전소 인수 추진 부각됨
10월 21일 광진윈텍은 웰크론한텍과 공동으로 이웰·이웰 에너지를 인수하고, 함께 친환경 바이오 SRF(고형연료) 발전사업을 추진합니다. 양사는 광진윈텍이 보유 중인 이웰 지분 100%와 이웰 에너지의 지분 70% 절반을 웰크론한텍이 인수하는 내용의 주주 간 계약서를 체결했습니다. 이번 계약으로 양사는 '제주도 열병합 발전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하고, 자원 선순환 생태계를 구축함으로써 수익 다각화와 지속가능 경영을 이끄는 게 목표입니다.
4. 코윈테크
코윈테크 ( 282880 : 코스닥 ) + 25.95%
10월 28일 장 마감 기준
기계주 / 시총 3400억대 / 자동화 설비사업
테슬라&현대&벤츠 등 완성차업체들의 LFP배터리 부각되는 분위기에서 자회사 탑머트리얼의 LFP 전지사업으로 인해 LFP배터리 관련주 부각됨
테슬라에 이어 현대차도 LFP배터리 전환 소식이 알려지면서 코윈테크의 주가가 상승세 분위기이며 세계 수준의 LFP전지 설계와 제조 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탑머티리얼의 지분 50%를 보유한 코윈 테크의 주가 상승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입니다. LFP 배터리는 리튬 기반이지만 희귀 금속인 코발트, 니켈 대신 철(Fe)을 사용한다. 삼원계(NCM) 배터리 대비 약 30% 저렴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CTP 기술을 이용하면 LFP 배터리의 최대 단점인 짧은 주행거리를 보완할 수 있습니다.
5. 엔피디
엔피디 ( 198080 : 코스닥 ) + 18.95%
10월 28일 장 마감 기준
전자부품주 / 시총 900억대 / FPCA사업
OLED 패널용 FPCA사업 기대감으로 개별 등락
엔피디는 표면실장기술(Surface Mount Technology)을 활용해 스마트폰에 사용되는 FPCA를 생산 및 판매하는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엔피디가 공급하는 제품은 삼성디스플레이에 납품되어 OLED 패널과 결합(압착)된 후, 최종 스마트폰 제조사인 삼성전자 및 중화권 업체(화웨이, Xiaomi 등)에 납품합니다. 삼성전자의 실적의 수혜로 엔피디의 주가가 부각되었으며 삼성전자는 지난 3분기(7~9월) 영업이익 15조 82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0% 증가했다고 10월 28일 발표했습니다. 매출액은 10.4% 오른 73조 9800억 원으로 확인이 됩니다.
'주식정보가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 관련주 (0) | 2021.10.29 |
---|---|
위드코로나 관련주 (0) | 2021.10.28 |
LFP배터리 관련주 (0) | 2021.10.28 |
백신패스 관련주 (0) | 2021.10.27 |
메타버스 관련주 (0) | 2021.10.27 |